안녕하세요. 클러스트 벤처스입니다.
여러분 '스타트업' 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죠? :)
뉴스, 증권 소식, 신문 기사, 영상 매체에서 한 번쯤은 들어본 스타트업
관심은 있으나 어렵게만 느껴지고 어디서 정보를 얻어야 할지 막막하셨을 텐데요.
조금이나마 도와드리기 위해 스타트업 관련 시리즈로 찾아왔습니다!
첫 번째 주제는 「스타트업 한 걸음 다가가기(STEP 1.) - 스타트업?」 으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
같이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STEP 1. 스타트업 (Start-up)?
[1.1] 스타트업 (스타트업 기업) 이란?
스타트업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 닷컴버블로 전 세계적으로 창업 붐이 일며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스타트업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비슷하면서도 다르고 어떤 가치에 초점을 맞추냐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정보기술(IT) 기반의 회사 또는 과감하고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그러한 상품 ·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 기업으로
현재의 가치보다는 미래의 가치로 평가받을 수 있는 큰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을 갖춘 기술 중심의 회사를 뜻합니다.
[1.2]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관계
앞선 내용으로 아시겠지만, 스타트업은 일반 개인사업과는 접근방식 자체가 다릅니다.
상식을 벗어나거나 전혀 생각하지 못한 아이템, 시스템, 서비스 등을 가지고 운영하기 때문이죠.
그러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은 어떤 관계일까요?
스타트업 기업과 벤처기업은 비슷한 개념이지만 완전히 동일하진 않으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은 기존에 없는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사업을 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경제 발전과 혁신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mage by zaozaa09 from Freepik
하지만 단순히 정의만을 말한다면 스타트업은 특별한 인증 절차 없이 개시할 수 있는 기업이며,
벤처기업은 벤처기업협회로부터 일정한 기준과 절차를 거처 인정받고 개시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
정부는 스타트업이라는 표현보다는 '벤처기업'으로 용어를 통일하여 스타트업 관련 법령에는 벤처기업이라는 용어가 쓰이고 있습니다.
•
스타트업 기업이라고 무조건 초기 창업 기업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 벤처기업 :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기술 및 경영혁신 능력이 우수한 중소기업 중 일부 요건을 갖춘 기업'으로 정의
벤처투자유형, 연구개발유형, 혁신성장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요건을 충족하여 인증받은 기업
국가법령정보센터_「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 2의 1호_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또한 스타트업은 벤처기업에 비해 자본력이 낮아 불안정한 사업을 한다는 인식과 창업 초기 단계에서의 투자유치 및 자금조달 측면에 대한 차이점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주로 벤처기업은 자본시장으로부터 직접금융 조달이 용이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기반에서 운영
스타트업은 정부 지원, 엔젤투자, 크라우드펀딩 등 간접금융 방식 위주로 이루어짐
[1.3] 스타트업 성장 단계 ( J커브 · 데스밸리 )
스타트업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미래를 예측할 수 없이 사업을 진행하는데
창업 초기 시장 진출 어려움 등으로 인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는 매출 발생의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사업의 손익분기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대비 현금 흐름이 증가하는 J 곡선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도서 (The Start-Up J Curve: The Six Steps to Entrepreneurial Success) By Howard Love
위 이미지는 하워드 러브(Howard Love) 가 제시한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를 그린 그래프입니다.
경제학의 개념인 J 커브를 빌려 제시한 개념으로 스타트업 성장의 모형을 J 곡선으로 나누어 그 과정을 상세하게 정리했습니다.
하워드 러브는 J 커브를 총 6단계로 정리하며 스타트업이 예측할 수 있는 패턴에서 사업을 접지만
J 커브를 더 빠르게 숙지한 기업가일수록 자본화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합니다.
J 커브 6단계
1. 창업(create) - 2. 제품 출시(release) - 3. 변화(morph) - 4. 모델 최적화(model) - 5. 스케일 업(scale) - 6. 수확(harvest)
1 창업(create) 아이디어, 자본, 팀 구성원(인력)을 기반으로 창업을 시작하지만, 자본이 부족한 시기로
크라우드 펀딩, 액셀러레이터, 엔젤투자, 투자자 유치, 국비 정부 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 확보 및
내부 회계·세무적 구조 정립이 중요하며 핵심 자원을 놓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단계이다.
2 제품 출시(release) 베타 테스트나 시제품 등 관련 시장을 대상으로 출시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들어보는 단계
고객의 피드백을 통해 제품의 시장 적합도 및 소비자의 니즈 파악이 가능하기에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선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된다.
3 변화(morph) 고객과 시장의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사업의 방향성이나 비즈니스를 가다듬는 과정
이를 통해 최적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시장 진출과 여러 사업화 가능성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재고해 볼 수 있다.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 _ 1-3 단계
J커브 그래프에서 계곡처럼 움푹 들어간 시기를 스타트업 '데스밸리'라고 부르며,
이는 6단계 중 1-3단계에 해당하는 시기로 가장 우려되는 단계입니다.
이 용어는 회사의 현금 흐름 그래프에서 유래했으며
일반적으로 회사가 제품을 출시했지만, 아직 수익을 얻지 못하는 고착 상태로 강력한 계획 없이 빠져나오기 힘든 상태입니다.
통계적으로 60% 이상의 스타트업이 죽음의 계곡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2~5년 안에 실패합니다.
이 시기에는 수익이 발생하지 않기에 자금 및 인재, 자원 부족과 부적절한 시장 검증 등 여러 문제로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렇기에 현명하게 헤쳐나오기 위해 자금 확보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거나
외부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난관을 헤쳐 나가야 합니다.
Image by Mohamed Hassan from Pixabay
4 모델 최적화(model) 비즈니스 모델을 최적화하여 드디어 시장에 진입하는 단계로,
마케팅이나 영업, 유통채널 등을 구축 준비 등 수익구조를 수립하여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 창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5 스케일 업(scale)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고 시장을 확대하여 고객 확보, 시장 점유율 증가, 조직 확장 등 사업 규모를 확장하는 단계
스케일 업 기업은 영국의 쉐리 쿠투가 이름을 붙이며 정립화된 개념으로, 창업 후 5년 이내이면서 고용이 10명 이상, 매출이 3년간 20%를 웃도는 기업을 지칭하게 됩니다.
6 수확(harvest) 성공적으로 사업을 발전시키고 기업에서의 영업 이득, 수익을 추구하는 단계
인수합병이나 기업공개, 배당이나 스톡옵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등 스타트업의 단계를 최종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됩니다.
[1.4] 스타트업 숨겨진 포인트. 세금!
Image by Racool_studio from Freepik
과감하고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하거나 서비스, 아이템이 뛰어나도
결국 자본이 충분하지 않다면 사업 성장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스타트업 초기부터 자금을 적절히 관리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기에
자금조달 및 관리에 집중하게 되는데 여기서 놓치면 안 되는 부분은 세금입니다.
스타트업도 세법에 따라 여러 가지 세금을 납부해야 하기에 자금 계획 수립 시
세금을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세금 추징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사업에 큰 시련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생하는 세금까지 당연히 신경 써야 하고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됩니다.
물론 절세를 위해 세법의 혜택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여러 절세 방법이 있으나 대표적인 스타트업 절세 방법으로는 창업 중소기업 세액감면 제도가 있습니다.
조건을 갖춘 신규 창업 기업의 사업 활동 5년간 세금 50% 또는 100%를 감면받을 수 있는 세액 감면제도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이라면 가장 눈여겨봐야 하는 절세 전략 중 하나입니다.
*창업 중소기업 세액감면에 대한 상세 내용은 추후 링크 첨부 예정
사업이 성장하면 세금은 피할 수 없습니다.
사업 초기에만 준비할 수 있는 절세 전략 및 자금 확보 등 필수적으로 검토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여러 세제 혜택 들은 사실상 변동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내용과 시점,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기에 막상 진행하기 부담스러우실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 절세 및 세금 관리에 대해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부담 없이 [상담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친철히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 및 출처
스타트업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J 커브 곡선? by 매치드 - https://blog.naver.com/matched_official/222790957314
[그로스 용어] 스타트업 성장곡선 J커브 뜻과 예시 by 창업지식공유대학생 - https://blog.naver.com/dyddnayrma/223138261088
[이웃집 사전] 스타트업 J커브(제이커브) 뜻, 스타트업의 현금흐름 관련 용어 - https://blog.naver.com/mapcrew2020/222407278735